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WebLogic
- sencha touch
- PHP
- Eclipse
- appspresso
- Spring
- PLSQL
- ibsheet
- oracle
- jQuery
- 가우스
- JDOM
- GPS
- swingx
- rowspan
- phonegap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jsr 296
- dock
- 선택적조인
- MFC
- Struts
- Android
- tomcat
- iBATIS
- Google Map
- JSON
- node.js
- MySQL
- Ajax
- Today
- Total
Where The Streets Have No Name
Weblogic상에서의 HTML/JSP 실습 본문
▩ Weblogic상에서의 HTML/JSP 실습
1. C:eauser_projectsdomainsmydomainstartWebLogic.cmd 파일 수정
- false, true사이에 공백을 절대 삽입하지 말것, 서블릿이나 JSP를 수정했을 때 자동으로 수정된 파일을 적용받을 수 있게 설정
set PRODUCTION_MODE=false 로 변경하고 개발이 완료되면 set PRODUCTION_MODE=true 로 변경한다.
2. 폴더 구조 생성
★ 아래의 폴더구조는 weblogic 서버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만들면 서버를 재시작해도 절대로 인식이 되지 않음
- D:eauser_projectsdomainsmydomainapplicationswebtest : html, jsp 파일이 저장됨
- D:eauser_projectsdomainsmydomainapplicationswebtestWEB-INF : XML 환경설정 파일
- D:eauser_projectsdomainsmydomainapplicationswebtestWEB-INFclasses : Servlet, Beans가 저장됨
- D:eauser_projectsdomainsmydomainapplicationswebtestWEB-INFlib : jar파일 같은 라이브러리 파일이 저장됨
3. http://127.0.0.1:7001/console 에 접속 확인
- 로그인에 실패하면 다른 jdk버전에 Configuration Wizard를 이용해 다른 도메인을 생성할 것
- 로그인 id/pass:weblogic/web12345
4. webtest/WEB-INF/web.xml 생성
★ 파일의 견본은 C:eaweblogic81samplesserverexamplesuildexamplesWebAppWEB-INF폴더에서 참조
<?xml version="1.0" encoding="ISO-8859-1"?>
<!DOCTYPE web-app PUBLIC "-//Sun Microsystems, Inc.//DTD Web Application 2.3//EN" "http://java.sun.com/dtd/web-app_2_3.dtd">
<web-app>
</web-app>
5. webtest/WEB-INF/weblogic.xml 생성후 서버 시작
<?xml version="1.0" ?>
<!DOCTYPE weblogic-web-app PUBLIC "-//BEA Systems, Inc.//DTD Web Application 8.1//EN" "http://www.bea.com/servers/wls810/dtd/weblogic810-web-jar.dtd">
<weblogic-web-app>
<charset-params>
<input-charset>
<resource-path>/*</resource-path>
<java-charset-name>KSC5601</java-charset-name>
</input-charset>
</charset-params>
<!--브러우저의 URL에 입력할 가상 디렉토리 컨텍스트 경로를 입력합니다. -->
<context-root>/</context-root>
</weblogic-web-app>
▷ Editplus에서 web.xml, weblogic.xml의 템플릿 파일을 생성하여 "C:/Program Files/EditPlus 2"폴더에 저장합니다.
(template_web.xml, template_weblogic.xml)
6. HTML페이지 작성
>>>>> application/webtest/index.html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 Transitional//EN">
<HTML>
<HEAD>
<TITLE> 첫번째 HTML문서 </TITLE>
</HEAD>
<BODY>
<H3>
웹로직 8.1서버에서 처음으로 html문서를 작성해 봅니다.
</H3>
</BODY>
</HTML>
- 확인: http://localhost:7001/webtest/index.html
7. JSP 페이지 작성
>>>>> sum.jsp
<%@ page contentType="text/html;charset=EUC-KR"%>
<html>
<head>
<title>1부터 100까지의 합 구하기</title>
</hrad>
<body>
<h3>
1부터 100까지의 합:
<%
int sum=0;
for(int i=1; i<=100; i++) {
sum = sum+i;
}
out.println(sum);
%>
</h3>
</body>
</html>
- 확인: http://localhost:7001/webtest/sum.jsp
▷ 처음에는 index.html이 열리고 링크를 클릭하면 sum.jsp가 나오도록 해보세요.
▷ sum.jsp파일을 sum이란 폴더로 이동후 합계를 나오게 해보세요.
<a href="/sum.jsp">/sum.jsp 합계구하기</a><br>
<a href="sum/sum.jsp">sum/sum.jsp 합계구하기</a><br>
<a href="./sum/sum.jsp">./sum/sum.jsp 합계구하기</a><br>
<a href="/sum/sum.jsp">/sum/sum.jsp 합계구하기</a><br>
<a href="../sum/sum.jsp">../sum/sum.jsp 합계구하기</a><br>
▷ Context Root를 test로 변경해 보세요.(weblogic.xml 수정후 weblogic 서버 재시작하세요.)
- 확인: http://localhost:7001/test/sum.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