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encha touch
- oracle
- jQuery
- swingx
- 가우스
- tomcat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WebLogic
- JDOM
- MFC
- ibsheet
- Spring
- PLSQL
- MySQL
- jsr 296
- JSON
- iBATIS
- Ajax
- rowspan
- dock
- GPS
- appspresso
- 선택적조인
- PHP
- Struts
- Eclipse
- node.js
- Google Map
- phonegap
- Android
- Today
- Total
목록Investment (35)
Where The Streets Have No Name
출처 : 모네타 별 영양가는 없지만..최근 ENZIO VON PFEIL이란 사람의 인터뷰입니다. 노벨상 수상자 밑에서 공부하고 ..투자은행에서 유명한 사람인것 같네요. 다 믿을 수 없지만(특히 상품 구매 독려하고..유가 안정될것 같지 않은 발언보면) 참고할 부분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만일 이 사람 말대로라면.. 몇달전 한국증시 괜찮다고 했을때..잠시 한국 장도 괜찮았으니까.. 대만도 잠시동안만?이라도.. 괜찮을수도 있겠군요. Dr. Enzio von Pfeil 의 2008년 6월 4일 CNBC 아시아 인터뷰... 초강대국의 통화가 계속 하락세가 될것..미국은 돈이 부족해 더 많이 발행해나갈것이고(공급위해) 가격은 다운될것 1. 미국과 이곳 아시아에서도 경제적 불안이 계속되고 있습니다.어떤 식으로 보십니..
출처 : http://news.moneytoday.co.kr/view/mtview.php?no=2008060408282100666&type=2&HEV1 - 마켓워치 칼럼니스트 폴 패럴 사이클이론 주장 - 버블 붕괴 주기, 13년→7년→? 갈수록 짧아져 - '버블'은 "독자 생명체" 2011년 다시 거품 붕괴가 온다. 그것도 엄청 큰 메가 버블이다. 마켓워치의 칼럼니스트 폴 패럴은 2일 차기 미 대통령 임기 말 또 한차례의 메가버블 붕괴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의 버블 붕괴 주장에는 '사이클', 즉 '주기설'이 자리잡고 있다. 패럴은 붕괴 주기가 13년에서 7년으로, 다시 7년에서 4년으로 점점 짧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사이클대로라면 1987년 '블랙먼데이' 주식시장 버블 붕괴, 2000..
1. 오페라 관람 횟수가 미식축구 관람횟수를 3 대 0으로 압도적으로 앞선다면 당신의 인생은 뭔가 잘못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2. 채권을 선호하는 사람은 자신이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모른다. 3. 그림으로 표현할 수 없는 아이디어에는 투자하지 마라. 4. 백미러로는 미래를 볼 수 없다. 과거의 일로 미래를 예측하지 마라. 5. 이왕 펀드에 투자하려면 좋은 펀드를 골라라. 6. 회사 사무실의 사치스러움과 경영진이 주주들의 이익에 신경쓰는 정도는 정확히 반비례한다. 7. 평범한 주식들이 모두 똑같이 평범한 것은 아니다. 8. 아우토반을 달릴 때에는 뒤를 돌아보지 마라. 9. 가장 좋은 주식은 이미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다. 10. 수익을 당연하게 여기는 생각은 주가가 폭락하면 확실히 치유된다. 11. 기업 ..
선물거래란 현 재시점에서 매매가 이루어지지만 매매 대상물의 인도와 대금결제는 미래에 이루어지는 거래입니다. 선물거래에는 에너지/농축산물 등 실물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선물거래와 통화/금리/주식/주가지수 등 금융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선물거래가 있습니다. 일 반적으로 사람들은 필요한 상품이 있으면 시장에 가서 상품 값을 지불하고 상품을 사는 현물거래를 합니다. 그런데 지금 당장 상품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3개월, 6개월 이후 등 장래에 상품이 필요할 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사람들은 3개월, 6개월 후에 상품이 필요한 시점에 구입하면 되지만 그 사이에 물건값이 크게 변동하면 물건구입 계획에 큰 차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런 경우에 대비해 미리 물건값을 확정해서 계약을 체결하고 3개월, 6..
출처 : 모네타 우선, 제 소개를 간단히 하겠습니다.. 대학생 때부터 주식 시장에 뛰어들어 작년 가을까지 결국 손해보고, 주식 투자 약 1년간 접었답니다..작년 가을부터 펀드라는 상품을 처음 경험하기 시작했으며, 진작에 주식 투자하지 말고, 펀드할 것 하는 후회를 가지고 있답니다.. 저는 30대 중반이며 전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정보보안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답니다...혹시, 정보보안관련 문의사항 있으시면 쪽지 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답변드릴께요.. 제가 생각하는 재테크는 크게 3가지로 생각하고 있으며 열심히 실행하려고 노력하고 있답니다..1) 소득 늘리기: 보다 많은 돈이 나에게 오도록 하자...몸값을 높이기 위해 열심히 IT관련 자격증 취득 중이며, 매년 최소 1개이상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
출처: kseri.org 장기투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외환위기 때의 주식 폭락과 IT버블에 대한 기억으로 그 동안 주식은 일반인들에게 기피대상이었다. 더욱이 장기투자에 대한 관심은 주가지수가 1000포인트의 벽을 넘어서지 못했던 지지부진한 시장상황에서 사치였다. 그러나 올해 주가지수가 1000포인트를 훌쩍 넘어 2000포인트에 도달하면서 주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됐다. 장기투자자들이 대박을 터트렸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장기투자 방식에 일반인들의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했다. 장기투자에 대한 호의적인 주장은 미국의 주식시장에 근거하고 있다. 1990년대 말 IT버블시기에 급등락은 있었지만 미국 주식시장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1980년 110수준이었던 S&P500지수가 2007년에는 1500대를 기록..
출처 : keri.org 최근 모건 스탠리의 이코노미스트인 스티브 로치(Steve Roach)나 MIT 대학 경제학과의 리카도 카발레로(RicardoCaballero) 교수는 세계적인 자산공급 부족 현상이 지금의 세계경제를 설명하는 핵심요인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특히 카발레로 교수는 글로벌 불균형(global imbalance)이나 최근 서브프라임 사태와 같이 잊을 만하면 다시 불거지는금융시장 위기 역시 ‘자산부족’(the shortage of assets) 현상에 그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현재의 자산수요가 그동안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준보다 과도한지, 아니면 자산공급이 전례 없이 부족한 것일까? 어느 쪽이 옳다 해도결국 초과수요라는 갭을 조정하지 못하는 오늘날 글로벌 자산시장에 문제..
출처 : http://mlbpark.donga.com/nboard/ssboard.php?bbs=b_bullpen&s_work=view&no=83797&depth=0&page=5 현재의 대한민국 아파트 버블을 떠받히고 있는 원동력이 주택담보대출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다 알고 있을 겁니다. 집값은 계속 오르는게 당연하다라는 생각에 사람들은 분위기에 휩쓸려 묻지마 대출로 너도 나도 일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집값은 절대 떨어질 수 없다, 떨어지더라도 조금 떨어 졌다가 다시 상승할 수 밖에 없다. 수요는 증가하는데 좁은 땅덩어리에서 공급은 한정되어 있다. 고로, 부동산 불패 신화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라는 믿음의 확산 때문에 비싼줄 알면서도 더 오를거라는 기대감에- 한편으로는 불안해 하면서도 뛰어들고 있는게 현재..
초과매수·초과매도 수준 - stochastics은 %K와 %D라는 두 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K는 가격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가격의 작은 변화에도 급격하게 변할 수 있는 반면, %D는 %K를 이동평균한 값이므로 가격변화의 충격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어 초과매수·초과매도수준을 이용한 매매방법을 활용할 때에는 %D를 많이 사용한다 - 일단 stochastics이 100에 근접하면 초과매수수준으로 판단하고, 0에 근접하 면 초과매도수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기본원리이다 - 일반적으로 초과매수수준은 stochastics이 75 - 90을 상회할 때로 보고, 초과 매도수준은 stochastics이 10 - 25를 하회할 때로 판단하는데, 그 중에서 75와 25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가격이 초..
가. 준비단계 일단 PC를3대정도 준비하는데 이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한눈에 보기 위한 목적이며 신속하고 정확한 실시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트레이더의 최대의 무기이다 기존에 사용중인 PC에 듀얼그래픽카드를 쓰면 되니까 PC2대면 효율적일 것이다 상황이 허락된다면 PC1대에 듀얼로 장착을 하고 증권전산단말기를 사용하면 PC1대에 증권전산단말기로 카바가 되니까1억이상 투자자들에게는 적절할 것으로 보이므로 권유하고 싶다 - 초보투자자의 경우 부단한 모의투자후 실전장세를 대비해야한다 실전투자에 대한 장중이익을 추구하는 것보다 장세를 잘못보아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으므로 초보자의 경우 최소한2-3달 동안 연습게임을 해보아야하고 원금의5%정도로 배팅하는 것도 무난하다 HTS를 자유자재로 만질수 있도록 숙달해야..
제 목 : [데이트레이딩기법]01. 이동평균을 이용한 Day trading (1) [이동평균을 이용한 Day trading (1)]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매기법은 아마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많이 알려진 기법 중에 하나일 것이다. 그 이유는 계산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매매신호로 해석해 내는 데에 여타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이동평균 외에 최근들어서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된 이동평균 개념이 등장하고 있고 어느정도의 유의미성도 획득하고 있다. 1. 일반 이동평균 :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기본적인 이동평균으로 특정 개수의 연속된 데이터를 같은 비중으로 단순하게 평균을 낸 것을 뜻한다. 즉 10일 이동평균이라 하면 10일의 종가를 합한 값을 10이라고 하는 숫자로 나눈 값을 의미하고 그 다음날은 최초일을 ..
아주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투기`와 `증시 대폭락`은 아주 귀한 손님이다. 이 손님들은 대개 지탄의 대상이 되지만 오랜만에 찾아올 뿐더러 때론 큰 돈벼락을 안겨 주고 떠나기 때문이다. 지난 수년간 전 세계를 휘저은 부동산 투기가 찾아온 게 얼마만의 일이던가. 아마 10년 이상 인터벌이 있었을 게다. 사막에 불시착한 어린 왕자 같은 이 손님은 정말로 여러 사람을 부자로 만들어줬다. 투기와 주가 폭락은 피해자도 양산하는 게 사실이고 그들의 분노는 매스컴을 탄다. 누가 그런 샤프한 말을 했는지 기억나지 않지만 `투기에 대한 비난은 돈에 대한 정의감을 가장한 질투심`인지도 모르겠다. 증시의 날벼락은 꼭 마른 하늘에서 떨어진다는 점 또한 알 수 없는 수수께끼다. 1987년 10월 19일 하루아침에 무려 2..
서브프라임론 부실 확대 여파로 인한 신용위험의 증가가 미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 금융시장으로 파급되고 있다. 미국내에서는서브프라임론 부실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서브프라임론 증권화 상품에 투자를 한 일본과 유럽 금융기관의 손실도 확대됨에 따라 세계금융시장의 신용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월가에서는 유동성 장세가 종말을 고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관측까지도 대두되고있다. 미국 다우지수는 폭등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10년 만기 미국채 금리도 4.6%대까지 급락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엔화는달러당 120엔대 수준에서 117엔대로 급등하여 엔캐리 자금의 일본 환류가 발생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브프라임론 사태는 이미 작년 여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우리연구소가 분석 전망한 대로 진행되고 있다. 예컨..
2007년 8월 10일 (금) 11:42 이데일리 재야고수가 전하는 `폭락장에 개미만 망하는 이유` [이데일리 이진철기자] 10일 여의도 증권가에는 납량특집이라는 우스개 말들이 오갈 정도로 주가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급락장은 전세계 증시 역사를 돌이켜 보면 항상 반복적으로 나왔고, 앞으로도 반복될 것이다. 문제는 급등락 장세 흐름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데 항상 개인만 망한다는 것이다. 인터넷과 각종 투자설명회에서 `선우선생`이라는 필명으로 활약하고 있는 남상용 동양종금증권 교육센터 팀장이 `개인투자자의 주식투자 실패의 이유`에 대한 분석을 내놓아 눈길을 끌고 있다. 다음은 분석내용 요약. ◇동일한 조건의 게임 주가 급락이 벌어지면 미리 판 외국인들이 가장 유리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미 많이 주..
1.당일 강세 종목을 수시로 검색하라. 장시작 9시 이후 수시로 당일 강세 종목을 검색하여 시장 흐름에서 어느 업종이 강세인지 파악하라. 2. 선도주, 주도주가 어느 종목인지 파악하고 매매하라 선도주, 주도주는 장세상승의 주도하는 종목이므로 상승 에너지가 강하여 잡주보다 수익률이 좋다. 하락 시에도 매도 기회를 주므로 선도주, 주도주 파악에 노력하라. 3. 본인의 전공투자기법을 만들어라 상한가 매매법, 낙폭과대 매매법, 테마주 매매법, 짝짓기 매매법 등 본인의 전공투자법이 있어야 한다.수천% 수익낸 투자자 들은 나름대로 자기 전공 투자방법이 있었다. 4. 일봉캔들 모양을 숙지하라. 주가의 상승, 하락에 일봉 캔들 모양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되므로 캔들의 위치에 따라 상승, 하락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